전체 글

전체 글

    트랜잭션 스크립트 패턴과 도메인 모델 패턴

    간단하게 보면 비즈니스 로직 구현을 어디에서 하는가에 따라 트랜잭션 스크립트 패턴과 도메인 모델 패턴으로 나뉘게 된다. 트랜잭션 스크립트 패턴 트랜잭션의 동작처럼 특정 기능의 플로우를 스크립트와 같이 하나의 메서드에 구현하는 방법 해당 패턴은 엔티티에는 비즈니스 로직이 거의 없으며, 서비스 계층에 비즈니스 로직이 집중되어 있다. 장점으로는 일반적으로 익숙한 방법이기에 구현이 쉽다는 점이 있으며, 각각의 기능에 대해 모듈화를 잘 한다면 효율도 좋게 나온다. 즉, 모듈화를 잘 한다면 쉽게 개발이 가능하며 효율도 좋다는 의미 하지만 로직이 복잡해질수록 코드가 난잡해지며, 도메인 분석/설계에 대한 개념이 약하기 때문에 코드의 중복을 막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도메인 모델 패턴 해당 패턴은 대부분의 비즈니스 로..

    Spring MVC 간단 정리

    Spring MVC에 앞서 일단 MVC에 대해 간단하게 정리를 하고 가도록 하겠습니다. MVC MVC란 Model, View, Controller를 의미하며, 소프트웨어 디자인 패턴의 일종 Model 클라이언트가 전달하는 정보 또는 데이터, 혹은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반환하는 정보 또는 데이터 위 정보 또는 데이터를 가공하고 관리하는 비즈니스 로직도 포함 즉, 정보 또는 데이터 값 및 비즈니스 로직 View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른 반환값을 어떻게 표현하는가?에 대한 부분 정적인 HTML을 반환할지, Model 값을 사용하여 동적인 HTML을 반환할지, 그렇다면 어떻게 렌더링 할지 등에 대한 역할 즉, 단어 뜻 그대로 보이는 부분에 대한 것 Controller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동작을 제어하는..

    독후감을 쓰다가 작성하는 회고

    최근 두 권의 책을 완독 후 느낀 점을 작성하다가 스스로 든 생각과 느낌을 기록한 글이며, 두서없이 편하게 작성된 글임을 참고해주세요. 느리더라도 차근차근 꾸준히 무언가를 할 때 기록을 하지 않고 경험으로만 넘기면서 해오다 보니 '아 이거 저번에 본 건데 뭐였지?'와 같은 경우가 종종 발생하면서 '왜 기록이 중요한지 알겠다! 이제부터 최대한 기록을 해야지!'하고 마음을 먹었으나 이게 생각보다 실천으로 잘 옮겨지지 않았다. 그리고 '이런 간단한 내용은 굳이 기록을 할 필요가 없지 않을까?'와 같은 생각도 기록을 안 하게 되는데 한몫을 했다. 하지만 결국 시간이 흐르고 나서 보면 간단하다고 생각하여 기록을 하지 않은 내용들 또한 까먹거나 헷갈리는 경우가 종종 있다는 것을 깨닫고는 내가 공부하여 학습한 내용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