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를 읽고 느낀 점
해당 글은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 조영호"라는 책을 읽고서 느낀점을 자유롭게 작성한 글입니다. 따라서 대부분 개인적인 의견임을 참고해주세요! 객체지향.. 이게 맞나? 객체지향에 대해서 대학교 및 개인적으로 어느 정도 찾아보면서 '객체지향이란 이런 것이다'라는 대략적인 개념은 이해하고 있었으나, 오직 C언어만 사용한 개발을 해오던 입장이었기에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고 생각하여 제대로 공부를 한 적이 없었다. 그러다가 웹 개발자로 전향을 생각하고 퇴사 후 Java를 공부하면서 객체지향에 대해 자세히 공부를 하게 되었는데.. 개념과 이론만 보고 있자니 이게 무슨 말인가 싶은 내용도 있고, 이걸 어떻게 코드에 녹여야 하는 걸까?라는 고민에 빠지게 되었다. 그렇게 코드를 구현하며 '대강 이런 식이구나~'라는 ..
HTTP status code 정리
인프런에 올라와있는 강의 중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김영한)를 수강 후 HTTP 상태 코드에 대해 짧게 정리한 글입니다. 각 상태 코드에는 더 많은 세부 코드가 존재하지만 자주 사용되는 코드들만 정리를 하였습니다. 그렇기에 혹시나 해당 글에 정리되어 있는 상태 코드가 전부라고 생각하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상태 코드 범주 내라면 전부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1xx - Informational 요청이 수신되어 처리되고 있다는 의미로 사용 하지만 실제로 사용을 거의 하지 않는 상태 코드이므로 이런게 있다 정도만 알고 넘어가면 된다. 2xx - Succsessful 요청이 정상적으로 처리 되었다는 의미로 사용 개발 진행 시 내부적으로 어떠한 상태 코드들을 사용할..
Spring 기동시 bean 초기화 메서드 호출 방법
구현을 하다보면 몇몇 bean에서 Spring 기동시 초기화가 되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에 대한 내용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생성자에서 초기화 메서드 호출 @PostConstruct annotation 사용 생성자에서 초기화 메서드 호출 @Component public class beanClass { public beanClass() { init(); } private init() { // init logic } } 위 예제 코드와 같이 생성자에 초기화 메서드를 호출하도록 하여 bean을 생성할 때 초기화 로직이 동작하도록 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DI를 이용하여 추가한 객체에 대한 로직이 init() 메서드에 포함이 되어있다면 에러가 발생하게 된다. @Component public class B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