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전체 글

    함께 자라기를 읽고 느낀 점

    해당 글은 "함께 자라기 (애자일로 가는 길) - 김창준"라는 책을 읽고서 느낀점을 자유롭게 작성한 글입니다. 따라서 대부분 개인적인 의견임을 참고해주세요. 좋은 책인 것은 분명하나.. 책의 제목처럼 책의 주제는 함께 성장하는 것에 대한 내용이며 왜 함께 성장하는 것이 좋은지, 실무에서도 어떠한 이유로 함께 해야 하는지?에 대한 내용을 여러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잘 설명하고 있다. 그렇기에 어떤 식으로 학습하는 게 중요하고 좋은지, 실무에서 각자 독립적으로 진행하기 보다 함께 하는 게 좋은지, 이러한 방식이 결국 애자일 방법론과 연관 있으며 어떠한 행동들이 큰 도움이 되는지에 관한 내용들을 학습할 수 있었다. 하지만 최종적으로 느낀 점은 '좋은 책인 것은 분명하지만 지금보다는 좀 더 경험과 경력을 쌓고 나..

    SpringBoot 기준 log 정리

    SpringBoot 프로젝트의 경우 "spring-boot-starter-web" 의존성 내에 "spring-boot-starter-logging" 의존성이 포함되어 있으며, 해당 의존성에는 다음과 같은 로그 관련 라이브러리들이 포함되어있다. logback slf4j log4j 여기서 slf4j는 여러가지 로그 관련 라이브러리들을 통일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라고 보면 되고, 실제로 로그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라이브러리들이 logback, log4j 라고 보면 된다. 그리고 SpringBoot 프로젝트에서는 기본적으로 logback을 사용한다. 사용 방법 import org.slf4j.Logger; import org.slf4j.LoggerFactory; public Lo..

    SpringMVC DispatcherServlet 동작 방식

    SpringMVC DispatcherServlet 동작 방식

    SpringMVC의 DispatcherServlet 동작 방식에 대한 내용에 앞서 Front Controller 패턴에 대해서 알아보고 넘어가도록 하자 Front Controller 패턴 일단 간단하게 Front Controller 패턴을 적용하지 않는 경우와 적용한 경우에 따른 동작을 그림으로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Front Contoller 패턴을 적용한 것과 적용하지 않은 것의 차이는 그림으로 한눈에 파악할 수 있듯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하나의 Servlet으로 관리를 하느냐 아니냐의 차이로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왜 Front Controller 패턴을 사용해야 하는가?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한 입구를 하나로 통일시킬 수 있다. 그렇기에 공통 처리 부분을 관리하기 편해진다. 추가적으로 N:N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