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전체 글

    Pre-project 개발 회고

    Pre-project 개발 회고

    Pre project 주제 : 스택 오버플로우(Stack overflow) 클론 코딩 프로젝트 진행 인원은 총 4명으로, 프론트엔드 및 백엔드 각각 2명으로 구성된 팀으로 진행하였다. Main project 전에 해보는 Pre project라서 기간은 약 2.5주로 짧게 진행하였다. 주제는 스택 오버플로우 사이트의 클론 코딩을 진행하였으나, 프로젝트 기간도 짧았거니와 처음 진행하는 프로젝트이다 보니 서툰점이 많아 아쉽게 마무리를 하게 되었다. 프로젝트 진행 과정의 산물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오갔던 내용들을 노션을 이용하여 정리 및 공유하였다. 회의도 거의 매일 하면서 진행을 했고 API 명세, DB ERD, 사용자 요구사항 정의서, 화면 정의서 등을 만들어 가며 진행을 했었다. 마무리 상태에서의 완성되어 ..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

    라이브러리 특정 기능들에 특화되어 있으며, 쉽게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클래스 및 메서드들을 구현하여 모아둔 집합체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동작을 미리 구현하여 제공해 줌으로써 원하는 기능의 구현을 빠르게 할 수 있도록 지원 라이브러리가 제공하는 클래스 및 메서드를 사용하여 원하는 대로 개발 개발을 하다가 해당 기능이 필요할 때 가져다가 사용하는 느낌 프레임워크 특정 기능을 쉽게 개발할 수 있도록 틀을 제공 프레임워크가 제공하는 기능들을 사용하여 개발 라이브러리와는 다르게 원하는 대로 개발이 아닌 틀 안에의 개발 특정 기능을 쉽게 만들려면 제공되는 기능들을 이용해서 개발을 진행하는 느낌 결론 둘 다 특정 기능들을 미리 구현하여 제공한다는 점은 동일하지만 라이브러리는 개발을 하는 도중에 필요에 따라 가져다..

    JPA Fetch Type

    JPA를 사용 시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객체 간 연관관계를 지정하게 되는데, 이때 옵셔널로 설정할 수 있는 항목 중 fetch라는 키워드가 등장하게 된다. (JPQL에서도 fetch join 이라는 단어가 등장하게 되는데, fetch 전략과 fetch join은 다른 내용) Fetch는 간단하게 말하자면 로딩 전략이라고 보면 된다. 즉, 연관관계로 지정되어 있는 객체에 대한 정보를 언제 로드할 것인가?에 대한 내용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사용되는 fetch type에는 EAGER, LAZY 총 2가지가 존재한다. 그럼 이 2가지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EAGER (즉시 로딩) 객체에 대한 데이터 조회 즉시 연관관계 매핑이 되어있는 객체의 정보 또한 조회하는 방식 즉, 연관관계가 있는 모든 데이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