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L2 - Ubuntu 계정 변경 방법
Windows에서 WSL2를 이용한 Ubuntu 설치 및 실행 시 로그인을 건너 뛰고 바로 실행이 된다.
자동으로 로그인이 되는 건 편하긴 한데..
로그인을 건너 뛰다 보니 다른 계정으로 변경하는 방법을 모르겠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그래서 계정을 변경하는 방법을 찾아보았고, 이를 까먹기 전에 기록해 둔다.
찾아본 결과 방법은 2개가 있으나 1번 방법을 추천한다.
그 이유는 기본 계정을 바꿔줌으로써 Ubuntu 실행 후 편하게 이후 작업을 진행하면 되기 때문이다.
1. Ubuntu 기본 계정 변경
Windows의 명령 프롬프트에서 아래의 명령으로 Ubuntu 실행 시 로그인 되는 기본 계정을 변경할 수 있다.
> ubuntu config --default-user <username>
예를 들어 "root" 계정을 기본 로그인 계정으로 변경하고자 한다면 아래와 같이 명령어를 쳐주면 된다.
> ubuntu config --default-user root
이후 Ubuntu를 실행해 보면 설정한 계정으로 로그인이 됨을 알 수 있다.
참고로 위 명령에서 존재하지 않는 계정을 입력하게 된다면 당연하게도 에러가 나오며 설정이 안된다.
2. su 명령어를 이용한 계정 변경
일단 Ubuntu 실행 후 'su' 명령어를 사용하여 계정을 변경 후 작업을 진행하는 방식이다.
Ubuntu 실행 후 shell 환경에서 아래의 명령을 입력하여 계정을 변경한다.
$ su - <username>
여기서도 예를 들어 "root" 계정으로 변경을 하고자 한다면 아래와 같이 명령어를 쳐주면 된다.
$ su - root
여기서 'su' 명령의 권한 에러(su: Authentication failure)가 나온다면 맨 앞에 'sudo' 명령을 추가하여 입력한다.
$ sudo su - <username>
위에 작성을 해 둔 것과 같이 기본 계정으로 로그인 후 계정을 변경하는 명령이므로 해당 방법은 shell 환경에서 작업 도중 단발성으로 계정을 변경해야 하는 경우에만 사용하는 게 편할 것 같다.
위 명령을 통한 계정 변경 후 'exit' 명령을 통해 이전 계정으로 돌아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