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전체 글

    테스트 더블(Test double) 정리

    TDD(Test Driven Development) 방법으로 개발을 하려고 하던, 몇몇 기능에 대해서만 테스트 코드 작성을 위해서든.. 테스트 코드 작성을 위해 이런저런 내용을 찾다보면 자주 보게되는 테스트 더블(Test double)가 정확히 무엇인지에 대해 정리한 글 참고한 내용은 마틴 파울러의 글1, 마틴 파울러의 글2, xunitpattenrs의 Test Double 및 테스트 더블의 각 항목 설명 테스트 더블(Test double) 이란? 테스트 2배! 는 당연히 아니고.. 영화에서 배우가 다칠 수 있는 위험한 장면등을 촬영할 때 대역을 사용하는 경우, 이 대역을 스턴트맨(stuntman)이라고 지칭하는데 이를 좀 더 넓은 범위에 적용(예를 들어 드라마, 뮤직 비디오 등등 모든 범위)하여 지칭을..

    클린 코드를 읽으며 끄적임

    실제로 클린 코드를 읽기 시작한 지는 좀 오래되었는데.. 이것저것 한다고 방치해뒀다가 다시 제대로 읽기 시작했다.. 각설하고, 개발 관련 서적 추천에 항상 들어있는 로버트 C. 마틴이 저술한 '클린 코드'를 읽다가 마음에 와닿는 내용이 있어 기록을 해두고자 작성하는 글 클린 코드의 도입부에는 깨끗한 코드에 대한 정의를 유명한 개발자들에게 물어본 내용을 나열한 부분이 있다. 그중 '론 제프리스'의 정의가 정말 마음에 와닿고 공감되어 다음부턴 해당 방식을 실천해 보자는 마음이 들었으며, 해당 내용과 생각을 기록해두는 게 좋겠다는 생각에 이렇게 글을 쓰게 되었다. 론 제프리스는 여러 문단으로 깨끗한 코드에 대한 정의를 하였는데, 그중 가장 가슴에 와 닿은 내용은 다음과 같다. 모든 프로그램이 아주 유사한 요소..

    MockMvc & WebTestClient & REST Assured

    Controlle단 유닛 테스트에 대해 알아보던 중 Spring REST Docs까지 흘러들어가 공식문서를 훑어보던 중 의존성을 추가하는 부분에서 다음과 같은 부분을 발견하였다. (공식문서) Add a dependency on spring-restdocs-mockmvc in the testImplementation configuration. If you want to use WebTestClient or REST Assured rather than MockMvc, add a dependency on spring-restdocs-webtestclient or spring-restdocs-restassured respectively instead. 위 내용을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MockMvc 대신 WebTe..